분류 전체보기(147)
-
NAT & IPv6
Network Address Translation(NAT) 하나의 사설 네트워크에 포함된 기기들이 그저 하나의 IP주소를 통해 인터넷과 통신하는 네트워크 라우팅 방식이다.사설 네트워크에 안에서는 포트번호로 기기를 구분한다.이를 통해 IP주소를 각각기기에 할당하지 않아도 되기에 IP주소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이 사설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IP주소는 private IP Address로 흔히 192.168.0.,10.11,172.16.로 시작하는 IP가 이에 속한다. NAT를 사용함으로써 ISP는 하나의 IP주소만 알면 사설 네트워크의 모든기기를 네트워킹할 수 있고 보안적으로도 특정기기를 외부에서 특정하기 매우 어렵다.NAT사용하는데 만일 사설 네트워크의 장비가 서버의 역할을 해야한다면 외부에서는 해당..
2024.10.01 -
Divide and Conquer
분할 정복으로 불리는 알고리즘으로 디자인 패러다임은 다음과 같다.문제를 여러개의 소문제로 분할한다.재귀적으로 소문제를 정복한다.소문제의 해결책을 합처서 문제를 해결한다.이미 병합 정렬과 마스터 정리를 통해 많이 접해왔다.분할 정복 알고리즘의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Merge sortBinary searchPowering a numberFibonacci numbersMatrix multiplicationStrassen's algorithmVLSI tree layout병합 정렬은 이미 알고 있기에 마스터 정리로 구한 성능만 알고 넘어가자. Binary Search(이진 탐색) 이진 탐색은 이미 정렬된 배열에서 원소를 찾는 알고리즘으로 이를 Divide conquer로 생각하면 다음과 같다.Divide:..
2024.10.01 -
IP(IPv4),DHCP
IP(Internet Protocol) 인터넷 네트워크 계층에서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프로토콜로 IPv4,IPv6 두개가 존재한다.인터넷 네트워크 계층 패킷은 데이터그램(Datagram)이라 하고 형식은 다음과 같다.이 형식은 IPv4이다.맨 처음에는 ver(IP 프로토콜 버전),head.len(헤더 길이)이 들어간다.헤더길이는 IPv4 헤더가 가변길이 옵션을 제공하기 때문이다.type of service에는 서비스의 종류 즉,realtime,background(Demon)인지를 구분한다.time to live는 패킷이 살아있는 시간으로 라우팅 알고리즘으로 인해 패킷은 좀비 패킷(Zombie Packet)이 된다면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소멸하여 네트워크 부하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Upper layer..
2024.09.28 -
무결성 제약조건
무결성 제약조건(Integrity Constraint)DB에서의 무결성이란 데이터의 정확성,일관성을 나타냄즉,데이터에 결함이 없는 상태를 말한다.무결성 제약조건은 DB의 정확성,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장,삭제,수정 등을 제약하기 위한 조건이다.데이터 무결성(Data integrity) 데이터의 정확성 또는 유효성을 의미한다.일관된 데이터베이스 상태를 정의(시스템 카탈로그,Data dictionary)하는 규칙들을 묵시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정의함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될 때 DBMS가 자동적으로 일관성 조건을 검사하므로 응용 프로그램들은 일관성 조건을 검사할 필요가 없음.도메인 제약조건(Domain constaraint)각 애트리뷰트에 올 수 있는 값을 지정.또한 각 애트리뷰트 값이 반드시 원자값(데이터 정..
2024.09.28 -
라우터
라우터(Router)라우터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비다.라우터의 구조는 입력 포트(Input port),출력 포트(Output port),스위칭 패브릭(Switching Fabric)로 이루어진다. 입력 포트(Input port) 입력 포트는 입력 링크로서,물리 계층 기능을 수행한다.또한 들어오는 링크의 반대편에 있는 링크 계층과 상호 운용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입력 포트는 포워딩 테이블(Fowarding Table)을 참조하여 패킷을 어떤 출력 포트로 보낼지 결정한다.이 과정에서 라우터가 사용하는 2가지 포워딩 기법이 있다. 1.목적지 기반 포워딩(Destination-based Forwarding)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목적지 IP주소를 확인하고,그 주소에 따라 따라 다음 홉으..
2024.09.24 -
점화식,재귀 트리,마스터 정리
점화식(Recurrences) 점화식은 알고리즘의 실행 시간을 문제 크기와 부분 문제에 따라 표현하는 방법으로 분할 정복 알고리즘(Divide-and-Conquer Algorithm)을 분석하는 데 중요하다.점화식은 재귀 관계를 나타낸다.재귀 트리(Recursion Tree) 재귀 트리는 알고리즘이 재귀적으로 호출되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모델링한 것으로 재귀 호출을 트리 형태로 표현하여 직관적으로 분석하기 쉽게 하는 것이다.일반적으로 알고리즘의 성능을 정밀하게 계산하기 위해서는 점화식을 이용한 수학적 귀납법으로 결과를 도출하지만 재귀알고리즘은 이를 적용하기 어렵기에 효과적이다.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이 식에 대해서 재귀트리를 그려보면 다음과 같다.재귀 트리의 각 레벨의 작업량을 다 더하면 전체 작업량이..
2024.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