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컴퓨터네트워크(18)
-
WiFi: IEEE 802.11
IEEE 802.11은 무선랜(WiFi)의 표준 규격이다.IEEE 802.11 LAN architecture각각의 노드는 AP,Base station과 통신하는데 이 통신하는 영역을 BSS(Basic Service Set,a.k.a "cell")라고 부른다.WIFI는 모두에게 공용으로 열려있는 2.4GHz(ISM band),5GHz,6GHz(UNII band)를 사용한다.OFDM을 사용하여 주파수 활용률을 높인다.호스트는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AP와 반드시 연결해야된다.보통은 2가지의 방법을 사용한다.수동 스캔(Passive scanning):호스트가 모든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AP가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비콘 프레임(Beacon frame)을 수신한다.비콘 프레임에는 AP의 SSID,MAC addre..
2024.12.13 -
Wireless / mobile networks
현대에는 많은 무선기기가 등장하면 무선 인터넷 또한 발전하게 되었다.기본적으로 CSMA기반으로 디자인되었다.하지만 무선과 유선은 완전다른 링크를 사용하기에 유선에서 디자인된 모델들을 완벽하게 적용하기엔 무리가 있다.많은 무선기기는 기지국을 통해 연결된다.Wifi는 흔히 말하는 AP(Access Point,ex.공유기)로 연결되고 LTE 같은 셀룰러서비스는 각 지역의 기지국(Basestation)로 연결된다.Characteristcs of wireless links무선 링크는 유선 링크에 비해 훨씬 환경에 민감하고 여러 문제가 생긴다.대표적으로 3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Decreased signal strength(신호 감쇠) Multipath propagation(다중 경로 전파)Interference ..
2024.12.09 -
MPLS,DCN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는 링크 가상화 기술로 네트워크 계층,링크 계층 사이에서 라우팅을 하는 기술이다.MPLS는 MPLS 기능이 있는 라우터에서 작동이 가능하다.이 기술은 SDN이 나오기전에 등장했고 결국은 Traffic Engineering 을 위해 개발되었다.MPLS가 가능한 라우터들은 Label-switched router라고도 부른다.기존 IP 라우팅은 목적지 주소 기반으로만 전달하기에 경로 유연성이 낮았고 라우터마다 IP 주소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시간 지연이 발생한다.따라서 MPLS는 고정된 길이의 라벨을 기반으로 빠르게 포워딩하고 링크 장애 시 사전에 계산된 백업 경로를 사용해서 즉각적으로 대처한다.MPLS Signaling MPLS는 기존의 ..
2024.12.03 -
VLANs
VLANs(Virtual LANs) 가상 로컬 영역 네트워크라고 불리며 논리적으로 분리된 네트워크를 의미한다.물리적으로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비들을 소프트웨어 설정만으로 서로 다른 네트워크처럼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게 한다.이 기술이 필요한 이유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다.대표적인 이유는 ARP,DHCP 등의 Broadcasting traffic이 많이 발생하면 이는 오버헤드로 이어지기에 해당 트래픽의 범위를 설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고 물리적으로 같은 스위치에 연결이 되있어도 논리적으로 이를 구분하면 인프라를 이동했을시에 별도로 다른 링크를 사용할 필요 없이 VLan을 통해 그대로 사용가능하다. 위의 경우는 CS 소속이던 컴퓨터가 물리적으로 EE의 스위치에 연결되도 VLAN을 사용하면 CS의 네트..
2024.11.23 -
Ethernet,Switches
Ethernet 이더넷은 LAN(Local Area Network)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널리 사용되는 기술이다.유선으로 통신한다.이더넷이 널리 사용된이유는 쉽고,싸기 때문이다.CSMA/CD를 사용했다.이더넷은 물리적으로 2가지의 방식으로 구현됬다. Bus90년대에 널리 사용된 방식으로 이 방식은 Collision이 많이 발생했다.Switched현대에 사용되는 방식으로 이 방식은 Collision이 발생하지 않는다.Ethernet frame이더넷 프레임은 IP datagram을 포함해서 설계된다.payload에는 IP datagram이 실리며 그 앞에는 Ethernet header로 구성된다.Preamble은 송신자와 수신자가 클락을 동기화하기 위해 설정된다.(ex.10101011)SFD(Start..
2024.11.21 -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이전에 배웠던 Linklayer부분은 데이터통신이랑 겹치기에 따로 작성하지 않음.MAC address(Media Access Control adress) MAC 주소는 링크계층(Link layer)에서 사용하는 장치별 교유 주소이다.48bit로 이루어져있으며 LAN,물리,이더넷 주소라고도 불린다.LAN은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MAC 주소는 IEEE에 의해 관리되며 IP주소와는 다르게 위치기반이 아니다.장치에 기록된 주소기에 위치를 변경해도 같은 주소를 사용한다.즉,Flat한 구조를 갖고 있다.여기서 생각해봐야하는 점은 MAC주소가 꼭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이미 IP주소가 있기에 패킷이 목적지로 도달이 가능하다.하지만 이럼에도 MAC주소를 사용하는 이유는 만일 MAC주소가 없다면 간..
2024.11.18